N+ 프리미엄

농민신문의 프리미엄 기사들을 만나보세요. 디지털농민신문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코너별로 보기
김진호 화백의 4컷 팜툰
 김진호 화백의 4컷 팜툰
2024-01-03
test
testdragon@yjmedia.com
 김진호 화백의 4컷 팜툰
2023-12-27
test
testdragon@yjmedia.com
 김진호 화백의 4컷 팜툰
2023-12-19
수입 마늘 99.6% ‘중국산’ 농산물 특정국 의존 심각
잇따른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를 계기로 산업 생산에 필수적인 품목의 특정국 수입의존도를 낮추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다. 주요 품목의 지나친 특정국 의존도는 비단 산업계만의 문제는 아니다. 매년 대량으로 농산물을 들여오는 우리나라도 수입 농산물의 특정국 의존도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주요 품목의 특정국 수입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 공급망 3050 전략’(이하 3050 전략)을 내놨다. 3050 전략은 ▲수입 100만달러 이상 ▲특정국 수입의존도 50% 이상(특정 3국 수입의존도 70% 이상)의 소재·부품·장비 산업 품목 1719개 가운데 산업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해 185개를 ‘공급망 안정품목’으로 선정했다. NCM전구체(중국 의존도 98.6%)·인조흑연(〃 93.0%)·수산화리튬(〃 87.9%) 등이 대상이다. 산업부는 공급망 안정품목의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국내 기업의 해외 사업장 이전 시 금융 지원 ▲국내 생산시설 구축 지원 등의 계획을 밝혔다. 농산물 중에도 특정국 수입의존도가 50%를 훌쩍 넘는 품목이 많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간한 ‘2022 농림축산식품 수출입동향 및 통계’에 따르면 주요 수입 농산물은 특정 1∼2개 국가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양념채소류의 경우 중국 의존도가 90% 이상이었다. 고추는 2022년 전체 수입액에서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94.3%에 달했다. 같은 기간 마늘은 중국산 비중이 99.6%, 양파는 93.2%였다. 지난해에만 나타난 특수한 현상도 아니었다. 전년도인 2021년 전체 고추·마늘·양파 수입액 가운데 중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9.0%·99.3%·77.7%에 달했다. 주요 식량작물도 특정국 의존도가 심각했다. 옥수수는 지난해 전체 수입액의 44.2%를 아르헨티나산이 차지했고, 밀은 호주(40.8%)·미국(31.0%) 2개국에 수입을 의존했다. 사료를 만들 때 쓰는 주요 원료도 마찬가지였다. 대두는 지난해 미국산(45.6%)·브라질산(37.9%)이 전체 수입액의 80% 이상을 차지했다. 대두박은 브라질산이 전체 수입액의 80.5%를, 양조박은 미국산이 전체 수입액의 97.1%를 차지했다. 영농활동에 필수적인 농기자재 또한 특정국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상황이다. 한국작물보호협회에 따르면 2022년 농약 원제 수입의존도는 91.2%에 달했으며 수입 대상국별로 보면 중국(27.9%)·일본(23.0%)의 비중이 컸다. 무기질비료의 중요한 원료인 인산이안모늄(DAP)은 전체 수입량의 95% 이상을 중국에서 들여온다. 요소의 경우 수입 대상국을 다변화한 노력으로 2021년 65%에 달했던 중국산 비중을 다행히 올해는 22%까지 낮췄다. 이에 전문가들은 곡물자급률 향상은 물론 곡물수출국의 수출제한 조치가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낮출 수 있도록 정부가 협상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자유무역협정(FTA)·경제동반자협정(EPA) 협상에 나설 때 상대국이 농업수출국일 경우 우리의 농업 민감품목은 지켜내면서도 수출제한 금지 등의 협력조항을 넣어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사료협회 관계자는 “최근 북유럽 등에서도 사료곡물을 수입하는 등 특정국들의 과점 체제를 깨기 위한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면서도 “다국적 곡물 메이저기업이 대부분 미국에 본사를 두고 있고 미국 정부가 이런 기업들을 움직일 수 있는 만큼 유사시 한국에 곡물을 우선 수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미국 정부와 협정을 체결하면 좋겠다”고 밝혔다. 오은정 기자 onjung@nongmin.com
 김진호 화백의 4컷 팜툰
2023-06-15
프리미엄 예약배포
1234 1234@gmail.com
 부자될 결심
2023-03-23
test
1dragon@yjmedia.com dasfasdfdsaf
 부자될 결심
2023-03-23
2월 9일 목요일
안녕하세요 금요일 D-1입니다.
 부자될 결심
2023-03-14
꿀벌 소멸의 나비효과
꿀벌이 사라진 세상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 노르웨이 작가 마야 룬데의 소설 <벌들의 역사>에서는 꿀벌 실종으로 인한 디스토피아적 세계가 펼쳐진다. 2098년 벌들이 사라진 세상에서 중국 쓰촨지역에 사는 주인공 타오는 나무에 올라 꽃가루 바르는 일을 한다. 그러나 사람 손은 벌의 효율을 따라가지 못하고 과일값은 치솟는다. 생태계는 파괴되고 민주주의는 무너진다. 벌의 멸종이 인간사회의 붕괴로까지 연쇄작용을 일으킨 것이다. 다소 극단적인 설정이긴 하지만 전세계 식량 90%를 차지하는 100대 주요 작물 가운데 70여개가 꿀벌 없이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발표를 고려하면 상상하지 못할 상황도 아니다. 2006년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꿀벌군집 붕괴현상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그러나 대응 면에서 외국과 우리나라는 천지 차이다. 꿀벌군집 붕괴현상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은 직접 나서 꿀벌 실종 원인을 찾고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으며 백악관에 벌통을 들여 벌을 치기도 했다. 유럽연합(EU)은 꿀벌을 비롯한 수분 매개체를 보호하기 위한 범국가적 위원회를 설립해 가동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의 인식과 대응은 매우 안이하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양봉농가 종합지원대책만 봐도 아직 우리 사회가 꿀벌 실종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위 현장에서 만난 한 양봉농가는 “대부분의 농가가 키우던 벌의 거의 전부를 잃었는데 정부에서는 고작 8.2%만 줄어들었다고 발표했다”며 분노했다. 대책 마련 전에 문제를 인식하고 진단하는 것부터 정부와 농가 사이의 시각차가 컸다. 지금 정책당국에 필요한 것은 생각의 확장, 상상력의 발휘다. 꿀벌 소멸은 양봉농가만의 문제가 아님을 인식해야 한다. 당장 꿀벌 실종으로 올해 수박·참외 등 과채류값이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에서는 인공수분이나 뒤영벌로 과채류의 수분을 대체할 수 있다고 하지만 현장에서는 이것들이 꿀벌을 대체하기는 역부족이라고 입을 모은다. 양봉농가의 위기는 시설농가의 위기로 이어지며 공급부족에 따른 물가상승은 일반 시민들의 몫이 될 것이다. 그린피스는 최근 한국에서 꿀벌살리기 운동을 전개한다고 밝히며 농림축산식품부가 꿀벌을 가축산업의 일종으로만 인식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꿀벌이 사라지는 세계에서는 사람도 살아남기 힘들다는 사실을 모두가 기억해야 한다.강원=양재미디어 기자 yjmedia@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