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농협, 산업 활성화에 역점 업체들 상품 개발·출시 잇따라 지원금·요리법 보급 … 시장확대 제분비용 낮추려 공장건립 추진
‘고시히카리’ 쌀 주산지로 유명한 일본 니가타현의 주식회사 ‘조인트팜(Joint Farm)’은 현미로 만든 소면을 출시해 호평받고 있다. 이 업체는 수년 동안 야마가타대학과 연구를 통해 탄력 있는 쌀가루 소면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100g당 소매가가 395엔으로 일반 밀면(약 198엔)보다 다소 높지만 수요는 꾸준하다. 이 쌀가루는 밀가루보다 흡유율(기름을 머금는 정도)이 낮아 튀김에 활용하면 바삭한 식감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게 업체의 설명이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쌀을 기반으로 하는 일본 농업이 ‘쌀가루 삼매경’에 빠졌다. 일본 정부와 일본농협(JA) 등이 쌀산업 육성과 활성화에 역점을 둔 가운데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이 시장에 개발·출시되고 있다. 특히 3월 일본에서 열린 ‘2024 도쿄 세계 식음료박람회’에서는 쌀가루를 활용한 소면·라면·빵뿐 아니라 쌀가루 요구르트·치즈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쌀가루 요구르트와 치즈를 출시한 업체는 일본 내 쌀가루 관련 1위를 달리는 ‘신명’이다. 이 업체는 현미로 만든 쌀가루에 식물성 유산균을 넣어 쌀에 함유된 유기질을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요구르트의 맛과 식감을 구현했다. 신명 관계자는 “유청을 쓰지 않아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도 편하게 요구르트를 즐길 수 있다”며 “채식주의자에게도 적합해 쌀가루의 새로운 미래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일본 쌀가루시장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매년 성장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논에 쌀가루용 쌀을 재배하는 농가에 10a당 연간 8만엔을 지급해 약 4만t 의 쌀가루 생산을 유도한다. ☞3면으로 이어짐
도쿄(일본) = 박민철 특파원
=CAPTION=
일본이 쌀 소비 감소에 대응해 적극적인 쌀가루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며 소비시장을 넓혀 주목받고 있다. 3월 일본에서 열린 ‘2024 도쿄 세계 식음료박람회’에 다양한 쌀가루제품이 전시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