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교두보로 … 할랄시장 진출 확대 ‘기대감’
입력 : 2024-01-29 11:37
수정 : 2024-01-29 11:37
aT ‘수출지원사업 설명회’서 농식품 수출업체 뜨거운 관심 
올 10월부터 인증제도 의무화 
국내 민간기관 통해 획득 가능 
대응방안 설명에 참석자 몰려 
복잡한 관련 절차 두고 걱정도 정부, 취득비용 일부 지원 계획

인도네시아에 대한 국내 농식품 수출업계 관심이 뜨겁다. 인도네시아는 전 국민의 90%가량이 무슬림(이슬람 신자)이다. 인구도 세계 4위(2억7000만명)다. 전세계 할랄(halal)식품시장의 큰손으로 꼽히는 이유다. 할랄은 이슬람 율법에 따라 허용된 것을 말한다.

올해는 새로운 이슈가 추가됐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10월17일부터 식품에 대해 할랄인증을 의무화한다. ‘할랄제품 보장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할랄인증 표시를 해야만 자국으로 반입을 허용한다. 단, 신선농산물은 제외한다.

이같은 움직임에 대비해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할랄인증청(BPJPH)과 한국이슬람교(KMF)·한국할랄인증원(KHA) 간 할랄인증에 관한 상호인정협약(MRA)을 체결했다. 한국이슬람교·한국할랄인증원은 국내 민간 할랄인증기관이다.

협약에 따라 우리나라 농식품기업은 인도네시아 할랄인증청의 인증을 받지 않아도 이들 국내 민간 인증기관의 할랄인증을 받으면 인도네시아로 수출할 수 있다. 인증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23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24 권역별 농식품 수출지원사업 설명회’는 이같은 농식품업계의 기대감을 새삼 확인하는 자리였다. 농림축산식품부·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공동으로 마련한 행사엔 농식품 수출·제조 업체 관계자 등 300여명이 회의실을 꽉 채웠다.

박건우 농식품부 농식품수출진흥과 사무관은 “오늘 주제 중 하나가 인도네시아 할랄인증 의무화 대응방안”이라면서 “수출물류비 폐지 등 제도가 바뀌기도 하고 여러 나라로 농식품 수출이 활발히 이뤄지다보니 설명회에 많이 오신 것 같다”고 말했다.

농식품부·aT는 업계 관심을 고려해 아예 수출기업 일대일 상담 부스를 현장에 설치했다.

참석자들은 할랄인증 의무화에 대한 기대감을 피력하는 한편 걱정스러움도 쏟아냈다. 제주산 유기농 녹차를 가공·수출하는 프로메테우스의 곽원규 대표는 “지난해부터 녹차 분말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는데 이슬람시장에 관심이 생겨 설명회에 왔다”면서 “과정이 번거롭긴 하지만 일단 인증을 받아놓으면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다른 이슬람 국가로의 진출도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자체 상담 부스를 설치·운영한 이슬이 한국식품연구원 연구원은 “할랄인증을 받지 않더라도 수출은 가능하지만 10월부터는 미인증 마크를 따로 붙여야 하고 인증 제품과 분리해서 진열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미인증 제품이 자칫 시장 경쟁력을 잃을까 걱정되는 것도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식품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할랄식품시장에 대한 농식품 수출액은 전체 농식품 수출액의 9.4%에 달한다. 그중 인도네시아가 1위 수출 대상국이다. 수출액은 2억4600만달러(3294억원)로 국내 279곳 업체가 가공식품·신선농산물·사료·주류를 수출 중이다. 인증 없이도 수출이 가능하다보니 현재 할랄인증을 취득한 곳은 50%가 채 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캔김치 제품을 수출하는 기룸의 김윤정 수출사업부장은 “지난해부터 할랄인증을 받으려 했는데 절차가 생각보다 까다로웠다”면서 “김치 가공기계에 사용되는 유류까지 인증받아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우려했다.

이와 관련 김남주 농식품부 농식품수출진흥과 사무관은 “농식품부와 aT는 원활한 인도네시아 수출을 돕기 위해 할랄인증을 취득할 때 드는 비용의 70%(인증당 최대 2000만원 한도)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상반기 중 참여 신청을 받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민지 기자 vivid@nongmin.com

=CAPTION=
23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aT센터에서 농림축산식품부·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관 ‘2024 권역별 농식품 수출지원사업 설명회’가 열리고 있다.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