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면에서 이어짐
농민단체는 내년 농업분야 예산이 늘었지만 지역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엔 미흡한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경남도는 올 8월 도내 농가소득을 2026년까지 전국 4위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담아 ‘5G 경남도 농업발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기존 사업 지원을 확대하는 수준에 그친 예산 증액으로는 이를 도모하기에 역부족이라는 게 농업계의 지적이다.
전농 부산경남연맹과 전국여성농민회총연합 경남연합은 11월27일 경남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남은 9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최근 10년간 두차례를 빼고는 농가소득 꼴찌를 기록했고, 올 8월 기준 농협 농지담보대출 미상환 건수와 대출을 갚지 못해 경매신청에 들어간 건수도 1위”라며 “경남 농업 현주소는 암울한데, 농가인구당 농업·농촌 예산도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고 토로했다.
제주·경북 등에서도 농업부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문이 나온다. 제주농협은 11월28일 제주도의회에 ‘2024년도 농업·농촌 예산 증액 편성 건의문’을 전달했다. 내년 제주도 총 예산이 올해 대비 2.07% 증가한 데 반해 농업·농촌 예산은 2.03% 감소한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5일 경북도의회 예결위가 내년 예산안을 심사하는 자리에선 농민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도기욱 경북도의회 의원은 “경북도의 (농작물재해보험) 보험료 지원은 (전국 도 가운데) 최하위 수준”이라며 “여성농을 위한 사업 발굴도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