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한국공항공사 ‘PASS스마트항공권’ 서비스 시행 <수정한 부제> 모바일신분증과 국내선 탑승권 결합한 항공권 서비스 <수정> 탑승 수속절차 간편 ↑…"지갑 필요 없는 앱 서비스 확대 노력" ㅇㅇㅇ
국내선 비행기를 간편하게 탈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가 나왔다. PASS 앱의 ‘PASS스마트항공권’ 서비스로 탑승권과 신분증을 한번에 인증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7일 이통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와 한국공항공사는 김포와 김해·제주 등 전국 국내선 14개 공항에서 신분증과 탑승권을 한번에 인증받는 ‘PASS스마트항공권'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PASS스마트항공권은 PASS 모바일신분증(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과 국내선 탑승권을 결합한 항공권 서비스다. PASS 앱에서 QR코드를 생성한 뒤 신분 확인과 탑승 과정에서 이를 제시하면 된다.
지금까진 국내선에 오르기까지 탑승권과 실물 신분증을 각각 제시해야 했지만, PASS 앱을 이용하면 한번에 인증할 수 있어 수속절차가 더욱 간편해질 것으로 보인다. 항공권 서비스 페이지에선 항공편 실시간 출발과 도착 현황, 공항 시설에 대한 안내를 제공한다. 결항·발권 취소 등 특수 상황이 발생할 경우 팝업 형태로 공지한다.
스마트항공권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PASS 앱에서 모바일신분증을 사전에 등록한 뒤 체크인까지 마쳐야 한다. 모바일신분증 등록은 앱 메인 화면에 있는 '모바일신분증' 탭에 접속한 뒤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을 올린 뒤 관련 이용약관에 동의하면 된다.
탑승권 정보와 PASS 정보가 일치하면 앱에 자동으로 QR코드와 항공권 정보가 표시된다. 이통 3사에 따르면 스마트항공권 서비스는 신분증 수록정보와 체크인 정보를 실시간으로 조회한 결과물을 표시한 것이라서 안전성이 높다. 보안을 위해 화면 캡처를 차단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QR코드가 초기화되도록 했다.
스마트항공권 서비스는 제주항공·티웨이항공·하이에어·이스타항공 등 4개 항공사 국내선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달중 에어서울이 추가 적용될 예정이다.
통신 3사는 "'이용자들이 간편하게 국내 항공여행을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자'는 생각으로 통신 3사와 한국공항공사가 함께 이 서비스를 내놓게 됐다"며 "모바일신분증을 활용하여 지갑이 필요 없는 '일상생활 속 필수 앱'으로 거듭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시내 기자 cine@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