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분야 민간투자 2027년까지 5조원으로 늘린다
입력 : 2023-06-29 16:19
수정 : 2023-06-29 16:19

정부가 2027년까지 농식품산업에 5조원 규모의 민간자본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민간·정책 펀드 1조3000억원을 조성하고 4조3000억원의 신규 여신상품을 공급해 농식품 신산업 등의 성장을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농식품분야 민간투자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은 농식품산업에서 성장 가능성 있는 분야·경영체를 발굴해 민간 주도의 투자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농림어업 투자규모는 5조7000억원으로 농림어업 국내총생산(GDP) 38조6000억원의 14.9%였다. 이는 전체 GDP 대비 투자 비중 31.6%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말 농림어업분야 상장기업 6곳의 시가총액은 모두 3조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14%였다. 지난해 농식품분야 신규 벤처투자(1246억원)는 전체 벤처투자 규모(13조6000억원)의 0.9%에 불과했다. 

정부는 이처럼 저조한 투자 실적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정보 부족 문제를 꼽았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경영정보 파악이 용이한 농업법인은 전체 농업경영체의 1.4% 수준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산업동향·우수경영체에 대한 투자정보 분석보고서를 연 80회 정기 발행하고, 올해 9월 ‘투자정보 공유 플랫폼’을 구축해 투자정보를 통합 제공할 방침이다. 

민간 주도 농식품 투자 펀드도 확대한다. 올해 결성 예정인 민간펀드 500억원을 포함해 2027년까지 모두 3000억원 규모의 민간펀드를 조성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농업·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농식품 신산업 유망경영체에 집중 투자한다는 구상이다. 투자 자본의 유동화가 어려우면 투자를 결정하기 어려운 만큼 중간 회수 수단인 세컨더리펀드도 2027년까지 모두 1500억원 추가 결성한다. 한국거래소와 협업해 농식품 경영체 전용 상장 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한다. 

아울러 담보력은 부족하지만 잠재력이 높은 경영체에 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농협은행 등 민간 금융기관을 통해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 등을 반영한 여신상품을 출시한다. 올해 3000억원 규모를 시작으로 연 1조원씩 2027년까지 모두 4조3000억원의 신규 여신을 공급할 예정이다. 

민간투자뿐 아니라 정책금융 역할도 강화할 방침이다. 2018~2022년 결성규모 7400억원의 정책펀드를 올해부터 2027년까지 1조원(정부 6000억원, 민간 4000억원) 이상으로 추가 조성해 스타트업·청년농·지역 등 정책 지원이 필요한 분야에 중점 투자한다. 

이와 더불어 농업경영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비농민의 농업법인 참여를 확대한다는 방침도 내놨다. 비농민이 농업회사법인 발기인과 영농조합법인 임원으로 참여해 특정 분야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법 개정안이 국회에 발의돼 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농식품분야는 최근 정보통신기술(ICT)과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고부가 가치화하고 있으나 민간투자가 부족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2027년까지 (정부 재원을 포함한) 5조6000억원의 자금이 민간 중심으로 공급되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강원=양재미디어 기자 yjmedia@nongmin.com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