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서 공개한 분석 결과 2100년 최대 82㎝ 해수면 상승 예측
2100년에 한국 해수면이 82㎝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대로라면 최악의 경우, 부산 해운대 등이 침수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10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조양기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해·황해 등 국내 주변 해역의 평균 해수면 상승 폭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오현주 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장은 “국내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보고서 속 새로운 기후변화 시나리오(SPP)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SSP는 온실가스 배출량에 경제구조 변수까지 고려한 시나리오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최대 25㎝, 2100년 최대 82㎝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석유·석탄 등 화석연료 이용률 수준이 비슷하고 무분별한 개발 확대를 전제했을 때다.
친환경적 경제 성장이 이뤄지는 것을 가정한 저탄소 시나리오에서도 해수면 상승은 불가피했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어도 국내 해수면 높이는 2050년 20㎝, 2100년 47㎝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시나리오에서 동해 해수면 상승률이 황해보다 높았다. 동해 해수면은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9.56㎜, 저탄소 시나리오에서 5.49㎜ 상승했고 황해는 상승률이 각각 9.39㎜, 5.33㎜였다.
이번 결과는 2년 전 분석보다 악화된 수치다. 앞서 2021년에는 2100년 최대 73㎝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후변화로 점차 빨라지는 해수면 상승 속도를 보여주는 결과다.
부산 해운대 등 해안 도시 침수 우려도 제기됐다. 김백민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교수는 “82㎝ 상승은 심각한 수준”이라며 “해수면이 80㎝에서 1m 상승하면 부산 해운대 등 상당수 해안가 도시가 침수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후변화로 발생 빈도가 늘고 있는 태풍·해일 등 자연재해가 겹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원=양재미디어 기자 yjmedia@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