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저탄소 인증 농산물 몰라서 구매 못한다”
입력 : 2023-03-30 11:26
수정 : 2023-03-30 11:26
농경연, 1200명 설문조사 결과
구매 경험 10명중 3명에 불과

낮은 인지도가 친환경 걸림돌

지난해까지 8000여농가 인증

“홍보활성화·소비촉진 나서야”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알지 못해 이를 구매하지 못한 소비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해 8월16일부터 9월5일까지 소비자 1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구매한 소비자는 10명 가운데 3명(34.8%)에 불과해 대다수는 구매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조사 결과는 농경연이 최근 발간한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 분석’ 보고서에 담겼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사본 적 없는 소비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구매 경험이 없는 이유로 ‘저탄소 인증 농산물이 있는 줄 몰라서’(52.9%)라고 답했다. 저탄소 인증 농산물에 대한 낮은 인지도가 친환경소비 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의미다. 낮은 접근성 또한 문제로 지목됐다. 적잖은 응답자들이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없는 이유로 제품을 ‘접하기 어려워서’(31.2%)라고 밝혔다.

저탄소 인증 농산물은 ‘저탄소 인증 마크’(사진)가 부착된 농산물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산물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2012년부터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친환경·농산물우수관리(GAP) 인증을 받은 농산물 가운데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 농산물이 대상이다.

인증을 받으려면 품목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배출된 온실가스가 해당 품목의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적어야 한다. 농촌진흥청 산하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심사해 저탄소 농산물 인증을 부여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8098농가가 저탄소 농산물 인증을 받았다.

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을 실천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농업분야에서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2470만t 대비 27.1%(670만t) 감소한 1800만t으로 줄이기로 했다. 농업분야에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농민이 저탄소 생산 기술로 농산물을 재배하는 등 탄소저감 활동이 필요하지만, 이와 동시에 소비자도 저탄소 농산물을 소비하면서 온실가스 감축 활동에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소비자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우선 저탄소 농산물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등 홍보 활성화가 요구된다.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장은 “(농산물 관련) 인증제도가 워낙 많아 저탄소 농산물 인증제도가 소비자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면서 “저탄소 인증 농산물을 소비하는 것이 온실가스 감축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알리고 소비자가 동참하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정부가 유통업체와 협력해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유통매장 내 ‘저탄소 인증 농산물’ 코너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성지은 기자 sung@nongmin.com

  • null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