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보증하는 정책자금, 연 1.2%로 최대 3억원 대출받으세요.”
공공요금 인상 등 서민경제 부담을 악용해 정책자금 대출 신청이 가능하다며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를 유도하는 사례가 최근 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허위 정책자금 대출을 빙자한 보이스피싱에 소비자경보 ‘주의’ 등급을 최근 발령했다.
사기범들은 불특정 다수에게 ‘2023년 긴급편성 민생회복 정책자금 대출 신청 안내’ 등 특정 은행이 정책자금 대출을 안내하는 것처럼 문자메시지를 꾸며 피해자가 상담전화를 걸도록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한다. 공공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정부가 특별예산을 편성하고 정책자금을 대출해주는 것처럼 속이는 것이다.
피해자가 문의하면 정확한 상담을 위해 필요하다며 개인정보 등을 요청하고 대출 실행을 위해 사전 자금을 입금하도록 요구하는 식으로 개인정보와 돈을 가로챈다.
금감원은 개인정보 제공이나 자금 이체 요청을 받았다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특히 정부기관이나 제도권 금융회사는 전화·문자로 개인정보 제공, 자금 송금 등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금감원 설명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부지원 대출 가능 여부는 제도권 금융회사에 직접 문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만약 금융사기 피해가 발생했다면 지급 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강원=양재미디어 기자 yjmedia@nongm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