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참여해 암소·송아지 감축 … 소매가 낮춰 소비 불붙여야
입력 : 2023-02-01 19:04
수정 : 2023-02-01 19:04
위기의 한우산업
③·끝  수급조절·수요확대로 돌파를
농협 축산경제·한우협회 주도
비육·난소결찰 시술비 지원 중
하나로마트에 권장판매가 제시
중소농 보호제도 정비도 시급

올해 한우 사육마릿수는 역대 최대치인 357만7000마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한우고기 공급과잉으로 한우 도매값은 전년 대비 8% 떨어진 1㎏당 1만7500원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이후에는 2015년 이전 수준인 1㎏당 1만6000원대 가격으로 내려갈 것이란 경고도 나온다. 결국 공급과잉에서 비롯된 현 한우산업 위기를 극복하려면 모든 농가가 수급조절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게 대다수 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우농가, 암소·송아지 감축 사업 동참해야=한우농가들은 농협과 전국한우협회·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가 추진하는 암소 감축사업에 참여해 수급조절을 실천할 수 있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는 2021년부터 올해까지 모두 7만7000마리를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저능력 경산우 비육지원 사업’ ‘한우 암소 비육지원 사업’ 등을 추진했다. 한우 암소 비육지원 사업은 이달말까지 참여 신청이 가능하다. 참여 농가에는 보증씨수소 정액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한우협회는 2021년부터 미경산우 비육지원 사업으로 지금까지 4만4000마리 이상 암소를 감축했다. 협회는 이달부터 사육규모 100마리 이상 농가나 도별 암소 사육마릿수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농가에서 자율감축 서명부를 받기로 했다. 이를 통해 추가적으로 암소를 2만5000마리 이상 감축하겠다는 구상이다. 농가마다 사육규모의 5% 또는 10%를 정해 감축을 결의하고 실천하는 것이 골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은 각각 ‘송아지 계약생산제’와 ‘한우 암소 난소결찰 시술비 지원’ 사업도 올해 추진한다. 송아지 계약생산제는 중장기 수급 전망을 근거로 한우 공급 과잉·과소가 우려되는 시점으로부터 3년 앞서 농가와 계약을 맺어 송아지 생산을 중단하거나 시작하는 수급안정책이다. 한우 암소 난소결찰 시술비 지원사업은 1마리당 10만원씩 시술비용을 지원해 송아지 생산 감축을 유도하는 것이 골자다. 전체 대상 규모는 1만6000마리다.

◆소비 확대 위한 다각도 노력도 필요=공급물량이 늘어난 만큼 소비가 뒷받침된다면 한우값 폭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한우 도매값이 폭락하더라도 소비자값은 큰 변동이 없고, 경기 악화 등의 여파로 소비자 구매 여력까지 줄어들어 수급불균형은 갈수록 심화됐다.

도·소매값 문제에선 농협 판매장을 중심으로 지난해말부터 시행한 ‘한우 도·소매가격 연동제’가 적절한 대안이 될 것이란 기대감이 크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는 농·축협 하나로마트에 도매가격을 반영한 권장 판매값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한우 도매값이 떨어지면 소비자값에도 즉시 반영해 소비 확대를 꾀했다. 한우협회도 소비자가 한우값 하락을 체감하도록 연동성을 강화할 것을 유통업계에 지속 건의할 예정이다.

소비 확대를 위한 다양한 할인행사 등도 지속돼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우자조금 등을 활용한 전국 단위 할인행사를 전개하는 것은 물론, 정부가 농축산물 할인쿠폰을 배포할 때 한우 쿠폰을 별도로 배포하는 등 정부 지원도 시급하다는 게 업계 목소리다.

협회가 추진하는 ‘나부터 1㎏ 소비 촉진운동’에서 농가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 한우농가가 먼저 한우소비를 늘리자는 게 이번 운동의 주요 내용이다. 9만 한우농가의 적극적인 동참을 계기로 사료·약품·유통 등 전후방산업 종사자들로 해당 운동을 확대한다면 한우값 안정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경산우 브랜드 육성도 시급=효과적인 암소 감축을 위해선 미경산우 전문 브랜드 육성과 미경산우 표시제 도입도 과제로 꼽힌다. 미경산우는 한번도 임신·출산하지 않은 암소다. 해당 암소를 송아지 생산에 활용하지 않고 고기소로 비육함으로써 앞으로 송아지 생산능력을 축소해나가자는 게 업계의 수급조절 방향이다. 다만 현행 제도하에선 소비자가 미경산우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미경산우 여부를 이력제에 포함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소비가 이뤄지도록 하자는 게 표시제 추진 취지다.

전국 축협에서도 암소 감축을 위해 앞으로 미경산우 7000마리를 비육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소농 보호 장치도 마련돼야=공급과잉에 따른 가격하락으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소농가의 피해가 예상되는 만큼, 이들 농가가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현재 이를 위해 송아지 생산안정제가 마련됐지만 발동 조건 등이 현실과 동떨어져 유명무실한 상황이다.

제도를 정상화하려면 ‘전년도 가임암소 110만마리 미만’이라는 현행 조건을 삭제하고, 기준 가격도 ‘송아지 6∼7개월령 185만원 이하’에서 ‘전년도 송아지 경영비 또는 경영비의 90∼95% 수준’으로 수정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 조언이다.

나아가 정부와 사료업체, 농가가 각각 분담해 ‘사료안정기금’을 만들어 사료값이 폭등할 때 차액을 지원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도 시급한 과제로 꼽힌다. 박하늘 기자 sky@nongmin.com

=CAPTION=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의 판매장에 전시된 한우고기 상품들.

  • null
댓글 2